설교학 분류
성경 본문의 세계와 신자의 세계를 연결하기 위한 설교자의 청중 이해(일곱번째, 마지막)
작성자 정보
- 최광희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7 조회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III. 나가는 글
지금까지 성경 본문의 세계와 신자의 세계를 연결하기 위한 설교자의 청중 이해를 삼중관점 구조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발견한 핵심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기존 설교자들의 청중 이해는 주로 효과적인 전달에 강조점을 있음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청중 전달이라는 한 가지 면만 강조하는 것은 균형 잡힌 청중 이해가 되지 못한다. 균형 잡힌 청중 이해를 위해서는 청중을 다중 관점으로 바라보아야 하는데 청중은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신학적인 존재이고 성경과의 관계에서 해석학적인 존재이고 설교자와의 관계에서 의사소통적인 존재이다.
한편, 설교를 위한 본문 해석을 위해서는 “역사적, 문학적, 신학적” 해석이라는 설명만으로 아쉬운 점을 보완하기 위해 설교학적 상호본문성 관점의 해석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해석의 관점에 부합하는 설교문 작성 역시 상호본문성 관점으로 할 것을 제안하였다. 설교자가 설교학적 상호본문성 관점으로 본문을 해석할 때 추체험한 것을 5단계 로고스의 맥락화를 통해 청중에게 전달할 때 청중 역시 설교자와 동일한 추체험을 하게 되고 자신이 구속사의 연장선에 서 있는 존재임을 인식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설교자가 균형 잡힌 청중 이해를 확보하고, 정당성과 연관성을 모두 갖춘 메시지를 준비하여 효과적으로 전달할 때, 성경 본문의 세계와 신자의 세계를 연결하는 설교를 할 수 있다.
관련자료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