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본문의 세계와 신자의 세계를 연결하기 위한 설교자의 청중 이해
작성자 정보
- 최광희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95 조회
- 1 댓글
- 1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성경 본문의 세계와 신자의 세계를
연결하기 위한 설교자의 청중 이해
최광희 신학박사(설교학박사)
I. 들어가는 글
설교는 정당성(validity)이 있는 성경해석을 통해 도출해 낸 메시지를 청중의 삶에 적실성(혹은 연관성, relevancy)이 있도록 전달해주는 것이다. 정당성이 있는 성경해석을 통해서 도출된 하나님의 말씀이 오늘 청중의 삶 속으로 침투해 들어와서 그들의 삶을 하나님의 통치 아래로 이끌어 들이고 하나님의 뜻에 합당하게 변화시킬 때 그 설교를 효과적인 설교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설교를 통해 청중의 삶에 이러한 변화가 나타나기 위해서는 설교와 청중 사이의 연관성이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설교자가 성경 본문의 세계와 신자의 세계를 연결하는 연관성이 있는 설교를 하기 위해서는 청중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청중의 내면에는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이 있다. 또한, 청중은 교회에서 배운 기독교적인 가치관으로 사는 것이 이 세상을 사는 데 무엇이 유익한지도 고민한다. 성경과 모순되는 세상에 살면서 갈등하는 청중을 성경적 가치관으로 연결해주기 위해서는 설교자가 먼저 청중에 대한 균형 잡힌 이해를 확보해야 한다. 왜냐하면, 설교자의 청중 이해는 청중의 자아 정체성 형성에 많은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균형잡힌 청중 이해를 확보하기 위한 연구 방법은 무엇인가?
실천신학자 Richard R. Osmer는 교회 안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상황에 대하여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와 “왜 이런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라는 질문을 함으로 그 상황에 대한 이유와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앞으로 어떤 일이 진행되어야 하는가?”와 “우리는 어떻게 반응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함으로 문제의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고 한다. 이러한 Osmer의 방법론으로 청중 이해를 탐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존 설교학자들의 청중 이해를 파악하고 분석함으로 문제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런 후에 바람직하고 균형 잡힌 청중 이해의 방법을 제시하고 대안을 제시하려고 한다.
기존 설교학자들은 청중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 일부 설교학자의 청중 이해를 살펴보면 청중과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에 강조점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청중 이해에서 필요한 것은 커뮤니케이션 기법만이 아니라 청중에 대해 균형 있게 이해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균형 있는 청중 이해란 무엇인가? 연구자는 먼저 ‘균형 있는 청중 이해’란 청중을 삼중관점으로 이해하는 것임을 설명할 것이다. 삼중관점으로 바라볼 때 청중은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신학적인 존재이며, 성경과의 관계에서 해석학적인 존재이며, 설교자와의 관계에서 의사소통적인 존재이다.
청중이 신학적인 존재임을 이해할 때 하나님 앞에 서 있는 청중의 상태를 이해하고 그에 적실한 설교를 할 수 있다. 또 청중이 해석학적인 존재임을 이해할 때 청중을 위해 성경을 어떻게 해석해 주어야 할지도 이해할 수 있다. 세 번째로, 청중이 의사소통적인 존재임을 이해할 때 청중에게 설교의 중심사상을 전달하기 위해 ‘반전의 깨달음’의 구성을 갖춘 메시지를 전할 수 있다. 이처럼 설교자가 삼중관점으로 청중을 이해하고 접근할 때 성경 본문의 세계와 신자의 세계를 연결하는 설교를 할 수 있을 것이다.
관련자료
-
이전
최광희님의 댓글
- 최광희
- 작성일
I. 들어가는 글
II. 펴는 글
1. 기존 설교학자들의 청중 이해와 삼중관점
2. 신학적 존재로서의 청중 이해
3. 해석학적 존재로서의 청중 이해
4. 의사소통적 존재로서의 청중
III. 나가는 글